소제의 제물과 절차 | ||||||||||||||||||||||||||||||||||
주제 : 피 없는 곡식을 여호와께 드리는 소제의 예물과 절차가 기록되어 있다. 말씀 : 레위기 2:1-16
| ||||||||||||||||||||||||||||||||||
발췌성구 :"제사장은 찧은 곡식 얼마와 기름의 얼마와 모든 유향을 기념물로 불사를지니 이는 여호와께 드리는 화제니라"(레2:16) 중심단어 : 소제, 제사장, 소제물, 화제, 소금 주제별 목록작성 : 소제물의 종류 1절: 고운 가루 4절: 화덕에 구운 것 5절: 번철에 부친 것 7절: 솥에 삶은 것 14절: 첫 이삭 볶은 것 말씀묵상 : 하나님께서 주신 제사의 규례에는 인간의 삶을 포괄하는 다양한 상징들이 담겨 있습니다. 노동의 결실을 하나님께 … 소제는 유일하게 피흘림 없이 식물을 제물로 하여 드리는 제사입니다. 피흘림이 있는 제물이 생명과 속죄, 대속을 의미한다면, 소제의 제물은 아마도 감사와 헌신의 의미를 담고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땅의 소산물을 하나님께 바침으로써 모든 소산물에 대한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하나님께 대한 감사를 표현했습니다. ‘첫 이삭’을 하나님께 드리는 의미는 자신의 노동의 동기와 과정, 결과 모두에 하나님의 섭리와 인도하심이 함께하심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소명(召命)을 자각하고 자신의 자리에서 성실하고 정직하게 최선을 다해 살아가는 삶. 그리고 그 성과물을 자신의 것으로 돌리지 않고 먼저 하나님께 드리는 삶이 바로 소제의 삶입니다. 언약의 소금을 치라! 소금은 그 부패 방지의 속성 때문에 고대로부터 계약을 체결하고 그 체결한 계약을 확증할 때 계약의 불변성에 대한 상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성경은 영원히 변하지 않는 확실한 언약을 가리켜 ‘소금 언약’(Covenant of Salt)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민 18:19; 대하 13:5). 하나님께서 소제물에 소금을 치라는 명령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과 맺은 언약을 언제나 의식하셨고, 그것을 준수하셨습니다. 그러나 그 백성들은 언약 백성으로서의 자신들의 정체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그것을 자주 파기했습니다. 불순종과 타락, 죄악의 삶은 하나님과 맺은 언약을 파기하는 일종의 ‘계약 위반’이었고, 그들은 그 위반에 따른 법적 책임을 져야만 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소제를 드릴 때마다 그 백성들이 언약을 갱신하길 원하셨습니다. 이러한 언약은 하나님의 백성으로 오늘날 이 땅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우리는 하나님과 맺은 언약을 준수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도움말 : 도움말 1. 소제(素祭, 히-민하, 1절): ‘분배’ 혹은 ‘선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말로, 유일하게 동물이 아닌 피 없는 곡식으로 드리는 제사이다. 보통 번제, 화목제와 함께 드려졌다. 2. 무교병(4절): 누룩을 넣지 않아 발효되지 않은 과자류이다.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할 때 먹었던 것에서 유래했다. 3. 번철(5절): 쇠로 만든 큰 냄비형 철판이다. 4. 언약의 소금(13절):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깨어질 수 없는 언약을 강조한 표현이다. 소금은 부패 방지의 속성을 지니기에 불변성과 영원성을 상징한다. 5. 첫 이삭(14절): 원뜻은 ‘태(胎)를 열다’, ‘쪼개다’로서, 처음 익은 열매, 맏물을 뜻한다. ‘첫 이삭’은 그 해에 나는 땅의 모든 생산물을 대표한다. 도움질문 : 관찰 1. 소제의 제물에는 어떤 종류가 있습니까?(1, 4-5, 7, 14절, 주제별 목록 작성 참조) 2. 제사장에게 제물을 가져오기 전 준비하는 과정을 살펴보십시오.(1, 4-7, 14-15절) 묵상/느낀 점 3. 하나님께 드린 후 남은 소제물은 누가 먹습니까?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3, 10절) 4. 소제물에 소금을 치는 의미는 무엇입니까?(13절, 메시지 참조) 적용 5. 당신은 삶의 결실을 하나님께 먼저 드리는 소제의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까? |